엘룬 파렌하이트,카이,진화,엘룬의씨앗,희귀&영웅캐릭터 공략

게임 공략|2019. 7. 18. 21:08


1. 리세마라


먼저 리세마라 하는 방법입니다.


엘룬 리세마라 하는 방법 보러가기 클릭


무과금 유저들은 3번부터 확인해 주세요.


먼저 과금하실 유저들은 1차적으로 리세마라는 파렌하이트(전설탱커)를 권장합니다.

파렌하이트만 나온다면 다른 전설은 뜨지않아도 바로 스타트합니다.


만약 파렌하이트가 아니라면 2명이상의 딜러 or 딜러&힐러가 나왔을경우 타협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탱커는 영웅 오웬을 목표로 방향을 잡겠습니다.)


BEST : 발드르, 레베, 맥카티, 캐롤라인, 미카즈키, 강림, 프레이야


*발드르의 경우 왠만하면 레베를 꼭 함께 노려주면 좋습니다(시너지)




2. 육성 및 캐릭터 획득 루트.


-파렌하이트가 나왔을경우, 일단 월정액 진행해주신 뒤, 이벤트로 부여받는 4성 영웅 선택권으로 카이를 노립니다.


이미 뽑기등으로 카이를 획득하신 경우엔 선택권을 킵해둡니다.


킵해둔 선택권은 추후 덱상황을 봐서 초월의 가치가있는 캐릭을 선택합니다. 

초월의 최우선 순위는 딜러입니다.


-여기서 파비안(영웅)을 구할루트를 잡아줘야하는데 현재 진행중인 이벤트인 빛의소환(빙고)이벤트에 영웅목록에 파비안이 있습니다. 


파비안은 시간이 좀 걸려도 최대한 이쪽에서 획득을 노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시간이 좀 걸려도 확정으로 얻을수있으니까요.


두번째 방법으로는 친밀작이 있습니다.


다만 친밀작은 기본적으로 카이나 오웬이 우선순위여서 해당 캐릭터가 있는경우에만 파비안의 친밀작을 해주시고 그렇지 않은경우엔 위의 방법이 합리적입니다.


우선 1맵을 뚫은 뒤, 어려움 1-1을 돌릴수있는 스펙을 만들고 바로 어려움1-1에서 희귀 및 영웅캐릭 쫄작을 진행합니다.


지속적으로 합성을 시도해서 상위등급의 캐릭획득을 노립니다.

(스펙을 올린다는건 장비셋팅과 레벨링등입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건 카이의 친밀도 올리기입니다.

카이에게 선물아이템을 몰아줘서 카이의 친밀렙을 30을 만들어줍니다.




*3성 카이를 획득


※이쯤에서 중요한부분 짚어드립니다.


(1) 진화의 최우선순위는 일단 파렌하이트 입니다.


(2) 만약 파렌하이트가 없는 상태라면 어려움 1-1의 친밀도 최우선 순위는 오웬(영웅탱커)이 됩니다.


(3) 오웬이 있을경우, 카이가 최우선이되며 둘다 있을 경우에도 카이가 최우선이 됩니다(초월목표)


이렇게되면 일단 캐릭터 구성이


파렌하이트 or 오웬 + 카이 + 파비안의 구도가 잡히게됩니다.


게임특성상 진화의 우선순위를 보면


탱커 >>>>>>>>> 딜러 >>> 힐러 입니다.


간혹 딜러로 찍어누르는 형태를 노려보시기도 하지만 초기 상태에서 딜푹찍은 절대 불가능합니다.

탱커가 가장 중요합니다.


(여담으로 진화의 우선순위는 탱커로잡되, 초월의 우선순위는 주력 딜러로 잡아주는게 좋습니다)




3. 파렌하이트


파렌하이트는 현재 전설 등급에서 유일한 탱커 포지션으로, 그에 따른 좋은 스탯&스킬 셋을 갖고 있음은 자명합니다.


때문에 많은 분들이 파렌+프레이야 조합을 기반으로 한 리세덱을 꾸리려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엔 큰 오해? 착각이 있습니다. 과연 파렌프레 조합으로 시작했다고 해서 무작정 순탄할까요? 대답은 일정 이상의 과금러에겐 yes, 대부분의 무과금러에겐 no 입니다. 


과금러가 yes 인 이유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돈 그냥 쭉쭉 쓰시면서 쭉쭉 성장하면 됩니다.


문제는 무과금 or 소과금 인데요.. 현재 엘룬의 성장(진화) 구조는 타 게임에서 보이던 것과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적당히 성장한 애들 재료로 먹여서 상위 등급으로 진화] --> [엘룬의 씨앗 이라는 특수한 재화로 성장]




근데 이 엘룬의 씨앗(내가 원하는 특정 클래스의 씨앗)은 현재 얻을 수 있는 루트가 특정 모험/코코 보상/연속 임무 보상/과금/라이쳐의 신전 이게 전부입니다.


때문에 내가 원하는 전설급 엘룬을 더 높은 별로 성장시키고 싶어도 씨앗이 모잘라 못 하는 경우가 있다는 뜻이죠.


영웅 - 전설 희귀도 간 스탯 차이 보다 별 갯수 차이에서 벌어지는 스탯이 훨씬 큽니다.


즉, 아무리 파렌 프레 먹고 시작한다 해서 4성 5성 6성 쭉쭉 진화 시킬 수가 없으면 6성, 그리고 그 이상의 초월 단계에서 영웅, 희귀급 엘룬보다 스탯에서 어마어마한 손해를 보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뛰어난 스킬 셋으로 극복하면 되지 않느냐?' 라는 질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1) 스킬 데미지or회복량 등은 모두 스탯의 영향을 받는 계수다. 

2) 스탯이 낮으면 적한테 픽픽 맞고 죽는다. 


더 설명이 필요한가요? 스킬이고 뭐고 현재 저희같은 초중반 유저들에겐 무조건 스탯 높은게 장땡입니다. 별 갯수에 따른 스탯 차이는 도감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으니 직접 보시고 판단해야 합니다. 




4. 전설 못지않은 영웅등급이랑 희귀등급 캐릭터


리세마라가 귀찮거나 무과금인 분들은 영웅등급과 희귀등급 캐릭터에도 관심이 많이 갑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전설급이 아니여도 굉장히 좋은 캐릭터들을 모두 알려 드리겠습니다.


탱커


오웬


같은 조건에서 파렌과 맞먹는 스탯과 탱킹 능력에 몰빵되어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렌하이트를 충분히 키울 여력이 되는 중 후반 까지 든든한 탱킹을 담당할 수 있는 엘룬입니다.


타나토스 & 스카디


특이하게 CC를 지닌 탱커입니다. 마찬가지로 파렌에 비해 쉽게 성장 가능합니다. 


힐러


타야


아군 광역치유+쉴드를 지니고 잇는 인기 캐릭터입니다. 


지원


스텔라


최강의 모험용 최강 희귀로 현재 정평이 나 있는 캐릭터입니다. 

패시브로 가장 먼저 선턴을 잡습니다. 


선턴을 잡고 낮은 소울 소모량으로 아군에게 광역 쉴드를 두르고 시작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매리트입니다. 


이건 뭐다? 먼저 맞고 시작하는 모험에서 OP 라는 겁니다. 


카르티아


카드 뽑아서 로또 공버프를 두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공버프는 어느 게임에서든 가장 중요한 버프이며, 이쁘고 스킬셋이 몽환적이라 굉장히 인기가 많은 캐릭터입니다.




5. 컨텐츠 운용


(1) 초기 주력캐릭터들의 렙업은 맵 뺑뺑이 보다는 2-3성 캐릭을 먹여서 빠른렙업을 해두는게 좋습니다.


(2) 루비의 주 사용처는 시공력입니다.


(3) 어려움 1맵에서 친밀도 작으로 획득할수있는 5명의 캐릭은 전부 얻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카이, 오웬, 세라핀느는 필수입니다(중요)


(4)일일던전은 최대한 빠르게 루비를 사용해서라도 높은 던전을 뚫어두길 바랍니다.

매일 루비를 사용해서 2회이상 던전을 도는걸 추천합니다.


(5)희귀 스텔라는 굉장히 좋은티어의 캐릭터입니다.

희귀라고 무조건 갈아버리지말고 스텔라는 소장하는것이 좋습니다.


추후 힐러라인이 너무 부족한거같으면 서포터 겸 딜러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6) 쫄작은 최소한의 수량만 보유상태로 진행하고 나머지 영웅들은 반드시 분해해서 빛의 소환과

씨앗을 쌓아둬야 합니다.


(7) 어려움 필드에서는 6성 스킬잼도 드랍이 됩니다.


(8)희귀등급 이하의 장비는 무조건 분해하여 강화석을 만들어 둡니다.


(9) 이 게임의 주 컨텐츠는 쫄작과 합성입니다.


즐거운 엘룬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